[UXUI] 레이아웃과 그리드 시스템 - UXUI_2
·
📚 스터디/디자인
레이아웃 화면 크기, 텍스트, 이미지, 여백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앱 내에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드 시스템 여러 종류의 요소를 질서 있게 배치하기 위한 그리드 규칙을 말한다. 그리드를 활용하면 시각적 통일성을 줄 수 있다. 반응형 웹 반응형 웹은 PC 부터, 노트북, 태블릿, 휴대폰에서 접근할 수 있는 웹이다. 반응형 웹은 PC와 노트북과 같은 화면비율이 넓기에, 12단 그리드로 다소 복잡하게 디자인이 진행된다. 이렇듯, 12단 그리드는 다양한 기기와 해상도 맞춤을 위해서 활용된다. 모바일 앱 모바일 앱은 안드로이드, IOS 에서 작동되는 Application이다. 대표적으로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이 있다. 모바일 앱은 웹과 비교해보면, 화면 비율이 좁기에, 4..
[UXUI] UXUI가 뭔데? - UXUI_1
·
📚 스터디/디자인
UXUI의 필요성 UXUI 를 왜 배워야할까? 아래의 사진을 살펴보자 UXUI는 사용자 경험에 기반해 작업한 디자인이다. UXUI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상품을 디자인하면, 위의 사진과 같이 사용자인 애기는 불필요한 모빌의 엉덩이만을 보게된다. 그렇다. 디자이너는 UXUI 기반으로 디자인 작업을 수행해 사용자들이 보다 더 쉽고 올바르게 정보를 얻고 서비스들을 누릴 수 있도록 제작할 필요가 있다. UXUI는 뗄 수 없는 관계 UXUI의 관계는 아래의 사진과 같다. UI가 있다면, UX는 무조건 존재해야 한다. 만약, UX 없이 UI를 디자인한 서비스 혹은 상품은 유저들의 관심을 받을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UXUI는 뗄 수 없는 관계임을 인지하고 UI에서의 UX를 무조건적으로 고려하자. UXUI 디자..
[생각] 개발자로는 성에 안찬다
·
💭 경험&생각
나는 소프트웨어학부에 입학하여 대학교에서 여러 활동들을 하면서 '나의 정체성'을 꾸준히 찾아냈다. 그렇게 1년간 대학생으로 내가 그때 찾은 꿈은 "개발자이자, 창업가"이다. 시간이 흐르고, 올해 4월부터 나는 대학생에서 군인이 되었다. 처음으로 돈을 모아보고, 군대 조직 속 특정 보직을 배정받아 매일매일의 임무를 진행하고 있다. 군인으로써 하루 일과가 끝나면, 일을 마친 군인이 된다. 그렇다. 2023년의 나는 학생으로써의 신분이 아닌 군인으로써의 신분으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는 내겐 알고보니 엄청난 의미였다. 초1 ~ 대학교 1학년까지 14년간 "학생" 신분으로 삶을 살아왔다. 그러나, 군복무의 의무로 대학생에서 군인이 되었다. 삶에서 처음으로, "학생"이라는 신분에서 벗어나 사회인이 되었다는 사실..
[생각] 여유로운 라이프스타일을 꿈꾼다면, Listening the Jazz
·
💭 경험&생각
이번 시간에는 알고는 있었지만, 재즈라는 음악에 대해 새롭게 깨달은 점들이 있어 정리해보려 한다. 우연히 유튜브에서 "뉴욕 맨해튼 여행" 검색으로 정해인의 걸어보고서 영상을 접했다. 영상을 보고 나는 재즈에 대해 사랑하게되었다. 뉴욕 맨해튼 풍경을 여행하는 상황에 잔잔히 흘러나오는 재즈를 느껴보자.. 재즈 재즈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미국 아프리카계 흑인에서 탄생해 전세계적으로 크게 유행한 음악 장르이다. 재즈의 탄생 배경은 20세기 초 흑인이라는 이유로 인종차별을 받아 자유로부터 억압받는 흑인들이 길거리에 나와서 억압으로부터 구애받지 않고 즉흥적으로 자유롭게 연주하면서 하나의 문화가 되어 재즈가 탄생되었다고 한다. 재즈의 거장인 "데이브 브루벡"이 재즈에 대해서 표현한 것이다. "재즈는 자유를..
[책 리뷰 : 성공하는 인생의 공식서] 역행자
·
📖 북로그
나에 대해서 좀 더 깊게 이해해볼 수 있고, 보이지 않았던 내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던 뜻깊은 책이었다. 역행자는 50주 연속 내내 모든 서점에서 자기계발 부문 베스트셀러 도서로 인정받은 도서이다. 정말 많은 사람들은 역행자 도서를 사랑하고 있었고, 자기계발 도서하면, 역행자라는 이야기가 떠오르는 게 상식이었다. 그럼에도, 나는 역행자를 읽지 않으려 했었다. 나는 내가 필요로하는 책을 탐색해서, 나만의 책만을 읽기 때문이다. 단순히,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책을 골라서 읽지 않았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군대에 오고 책을 읽을 시간이 많아졌다. 그렇게 여러 책들을 읽으며 힘든 군생활을 이겨내고 있었고, 문득 자기계발 1위도서인 역행자에 대해서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왜 인기가 많고, 그렇..
[생각] "생활코딩"데이터 모델링을 완강하고..
·
💭 경험&생각
2023.09.16 ~ 2023.09.28 약 2주간 생활코딩 "관계형 데이터모델링" 강좌를 완강했다. 모든 강좌를 수강하여, 2022년 백엔드 개발자로써 활동하며 다뤘던 데이터베이스 역량을 더욱 구체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되었다. 작년엔 직접적인 경험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익혀왔다면, 올해는 이론적인 지식을 배움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더욱 체계적으로 정리하게 되었다. 이젠, 약간의 자신감이 생겼다. ERD 설계를 스스로 진행해 원하는 프로젝트를 혼자서 만들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생겼다. 새로운 시작 뭐든 끝이 있으면, 이는 시작점이라는 나만의 지혜에 따라 나는 또다른 시작점에서 새로운 출발을 해보려한다. 2023.04.24 ~ 부터 2024.10.23까지 군 복무 중에 있다 ㅎㅎ..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DB, 역정규화 [5]
·
📚 스터디/데이터베이스
우린 데이터 모델링 과정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능력을 얻었다. 정말 신기하고 설레지 않나? 우리도 이제, 일상에 가치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그 가치들을 직접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게 되었다. 마음만 먹으면, 우리도 세상 사람들의 삶을 위한 서비스를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얻은 셈이다. 잠시 멈추고, 우리가 배웠던 것들에 대해 위대함을 느껴보자. 포스팅 목적 이번 포스팅에선, 조금의 욕심을 더 부린,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한다. 우리 서비스가 10만명 유저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하나로, 10만명의 유저 이벤트에 대해서 처리해야 된다. 어떨거 같나? 데이터베이스 오직 하나로 수만명의 요구사항을 모두 받아주기란 유저 한명한명의 처리에서 신속하고..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가이드북, 정규화 [4]
·
📚 스터디/데이터베이스
이젠 약간의 쉬어가는 쉬는시간이자,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지식을 배워볼 시간이다. 우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일상의 문제들을 손쉽고 간편하게 해결해주는 세상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어플의 서비스들을 이용해 이동할 지역까지의 최적경로를 찾을 수 있다. 친구들이나 비즈니스 관계에 있는 사람들과 커뮤니티 어플로 우린 직접 만나지 않아도, 전화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연락할 수 있다. 정말 세상은 변화했고, 앞으로도 꾸준히 더 나은 세상이 되길 변화하는 중이다. 그런 삶의 변화를 가능케한 역할이 데이터베이스도 한 몫을 했다. 수많은 사람들의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서비스를 기능케한 저장 공간이 데이터베이스이다. 그렇다. 우린, 데이터베이스 라는 도구로 삶에서 수..
[데이터베이스] 데이베이스 설계도, ERD 설계 [3]
·
📚 스터디/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ERD 그게 뭔데? ERD Entitity Relationship Diagram [ERD] 는 시스템의 엔티티들이 무엇이 있는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구조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앞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으로 기획 상황을 속성, 그 ceo-uk22.tistory.com 앞선, 포스팅으로 이론적인 개념으로 ERD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ERD 는 데이터베이스 표현으로 속성, 그룹, 관계를 칼럼, 테이블, PK,FK 로 바꾼 다이어그램이다. 이젠, 직접 ERD 설계를 해볼차례이다. 왜 ERD 설계를 해야될까? ERD 에 대해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이에 대해 의심의 여지가 충분히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성하는데, 왜 ERD 설계를 강조하는지 처음엔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냥, 바..
[데이터베이스] ERD 그게 뭔데? [2]
·
📚 스터디/데이터베이스
ERD Entitity Relationship Diagram [ERD] 는 시스템의 엔티티들이 무엇이 있는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구조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앞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으로 기획 상황을 속성, 그룹, 관계 카테고리로 정리했다. ERD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데이터베이스 표현인 칼럼, 테이블, PK & FK 로 설계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속성, 그룹, 관계 카테고리로 표현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데이터베이스 표현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을 ERD라고 한다. ERD 구성요소 개념적 데이터모델링은 다음과 같이 3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한다. 1. Entity (그룹) 2. Attribute (속성) 3. Relation (관계) 데이터베이스 표현으로 살펴보면, 1. Entitiy ..